텅 빈 좌석에도 불구하고 중국으로 가는 비행기를 국내 항공사들이 앞다퉈 띄우고 있다. 일본, 동남아시아 등과 비교해 여객 수요가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에도 항공사들이 중국행 노선을 늘리는 이유는 ‘운수권’, 비행기를 띄울 수 있는 권리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인천에서 출발하는 정저우·장자제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코로나19로 운항을 중단한 2020년 1월 이후 4년3개월 만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인천~톈진 노선을 시작으로 시안·충칭·선전행 비행기를 곧 띄울 예정이다. 저비용항공사(LCC) 역시 중국 노선 재운항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제주항공은 인천~스자좡 노선과 무안~장자제 노선을, 티웨이항공은 인천~선양·지난·원저우 노선 운항을 곧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이전 중국 노선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다. 한국인 단체 관광객은 물론 중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대규모 여행객 ‘유커(游客)’ 수요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이 지난해 7월 반간첩법을 시행한 뒤 관광 환경이 비우호적으로 변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도 심화하며 기업의 탈(脫)중국 행렬로 비즈니스 수요까지 감소했다.
인천발 베이징행 왕복 항공권 가격은 이달 말 기준 25만원대다. 도쿄행 항공권(40만원대)보다 15만원가량 더 싸다. 이처럼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국내 항공사들은 중국행 비행기 좌석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평일 기준 일부 비인기 노선은 탑승률이 30~40%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노선 여객은 286만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413만 명) 대비 69% 수준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국내 항공사들은 운수권 유지를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중국 노선을 잇달아 늘리고 있다. 운수권은 항공사가 타국에 항공기를 보내 여객 및 화물을 탑재·하역할 수 있는 권리다. 국토교통부 운수권 배분 규칙에 따라 중국 운수권을 유지하려면 항공사는 연간 10~20주 이상 비행해야 한다.
항공사 관계자는 “비성수기에는 중국 노선을 운항하며 운수권 조건을 충족하고 성수기에는 여객 수요가 많은 일본과 동남아 등으로 비행기를 탄력적으로 늘려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