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경제 뉴스
"중국, 파운드리 이어 반도체 설계도 약진…범용칩 자생력 갖춰"
2024/04/23


칭화대 이우근 교수

리창 총리 신임받는 칩 전문가
시스템 회로설계 등 고속 성장
中은 반도체 고객이자 경쟁자
미세공정 수요 급증 韓에 기회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한창이던 2021년 칭화대에 집적회로학원(반도체대학원)을 설립했다. 산학협력의 산실로 조성하기 위해 하나의 단과대를 세운 것이다. 반도체 분야 리더와 기업 임원 육성을 위한 석·박사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했다. 한 해 모집 인원은 1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반도체대학원에 몸담은 유일한 한국인인 이우근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시스템 회로설계·설계자동화(EDA) 기술은 한국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중국은 14나노 공정 이상 범용 반도체 분야에선 사실상 자생력을 갖췄다”고 진단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IBM 왓슨연구소 등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지난 2월 열린 외국인 전문가 간담회에서 리창 중국 총리 옆자리에 앉을 정도로 반도체업계 실력자로 꼽힌다.

이 교수는 “SMIC가 최근 7나노 공정으로 생산한 5세대(5G) 통신용 칩은 아직 수율 등의 검증이 필요하지만 ‘애국 소비’에 힘입어 이른 시간 안에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높다”며 “빅데이터 처리 기술에 많은 노하우를 지닌 중국은 하드웨어 문제가 해결된다면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크게 도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은 미국 한국 대만이 주도하는 반도체 패권을 움켜쥐기 위해 연구개발(R&D)에 막대한 돈과 인원을 투입하고 있다. 이 교수는 “중국 정부는 (극자외선 노광장비 없이) AI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뉴로모픽 칩, 차세대 메모리, 딥러닝 칩 등을 집중 연구하고 있다”며 “이 분야 논문 양으로는 중국이 이미 세계 1위”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반도체 전략에 대해 “중국은 과학기술 분야만큼은 정치적 논리보다는 원로 및 전문가 의견을 전적으로 존중한다”며 “정권 세대교체와 상관없이 큰 목표를 향하고 있는 점이 부러우면서도 우리에게 경각심을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산업에서 한·중 관계는 고객이면서도 경쟁자라는 게 이 교수의 분석이다. 그는 “중국은 세계 반도체 칩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는 놓칠 수 없는 시장인 동시에 기술 유출이란 리스크도 있는 나라”라며 “한국도 메모리에만 의존하지 않는 탄탄한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베이징=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담자 정보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상담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문의내용 상품에대한 궁금하신 내용을 적어주세요.
개인정보 수집동의 안내
※ 본 서비스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아래와 같이 고객님의 개인정보가 수집됩니다.
- 수집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문의내용
- 수집목적 : 문의내용에 대한 회신 목적
- 보관기간 : 문의처리 후 7일간 보관 (추가 문의 회신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