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경제 뉴스

이전

취업 경제 뉴스 상세

"중국 안 살아도 영주권 주겠다"…해외 S급 인재 '파격 대우'

2024/04/21


첨단분야 인력에 공들이는 中
2030년까지 'AI 최강국' 목표
자원 총동원…2000조원 투자



요즘 중국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에서는 외국인 직원을 보는 일이 흔하다.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급 외국인 인재 유치에 공을 들이면서 나타난 변화다. 중국은 1조5000억달러(약 2068조5000억원)를 투입해 2030년까지 ‘AI 굴기’를 완성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9년 과학기술 강국과 혁신형 국가를 만들겠다며 ‘고급 외국인 전문가 유치 계획’을 발표했다. 차세대 정보통신과 제조업, 첨단 신소재를 전략 핵심 분야로 분류하고 관련 기술을 보유한 외국인 인재를 대거 유치하기 위해서다.

2020년 외국인 우수 인재의 영주권 취득 기준을 완화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외국인 영구거주관리 조례’를 개정한 게 대표 실행 방안으로 꼽힌다. 개정 조례에 따라 첨단 분야 외국인 전문인력은 중국에 거주하지 않아도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박사 학위 소지자나 세계 유명 대학을 졸업한 인재는 중국에서 3년 이상 근무하면 영주권 신청 자격을 주도록 했다. 이 같은 외국인 인재 유치 전략은 오픈AI의 챗GPT 등장 후 더 강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중국이 미국과의 AI 기술 격차를 1~2년 안에 따라잡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정부는 2035년까지 완성할 ‘7대 첨단 과학기술’의 첫 번째 기술로 AI를 점찍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중국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에서 ‘신품질 생산력’을 강조했다. 기술혁신과 자립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는 평가다.

한국 정부는 2021년 해외 인재 유치 활성화를 선언했지만 폐쇄적 국적제도와 노동시장 경직성 등으로 제대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외국인 취업자 중 제조업 생산 현장에서 필요한 단순기능인력 비중이 60%에 이른다.

선전=정지은 기자/베이징=이지훈 특파원 jeong@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